달력

4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마더
감독 봉준호 (2009 / 한국)
출연 김혜자, 원빈, 진구, 윤제문
상세보기

* 이 글은 극심한 스포일러가 될 소지가 있습니다.

이젠 상영년도가 작년이 된 봉준호 감독의 신작, 마더이다.
저번작 '괴물'부터 봉준호 감독은 상징적인 요소와 작품내에서 생각할 소재를 많이 내포하고 있는데
이번작도 같은 인상을 주고 있다.

조금은 복잡하기도 한 것 같은데 몇 가지만 언급해보고 평을 해보자.

1. 어머니의 존재와 사랑의 의미
누구나 나를 이 세상에 존재케 하신 어머니는 존재한다. 한국의 어머니는 자식에 대해서 무한한 애정과 관리에 힘쓰지만
그것은 의미가 모호한 상당히 맹목적이라는 것이다. 영화에서의 예처럼 자식에게 살인혐의가 있다면 거의 십중팔구
내 자식이 누명을 썼다고 생각하고 행동할 것이라는 점이다.

2. 공권력의 비성실함, 무력함
봉준호작에는 꾸준히 다뤄지는 부분이다. 권력을 행사할 수 있는 기관은 자신에 이로운 방식으로 생각하며 행동하고
일을 처리한다. 그들이 약자의 입장에서 서줄리는 만무하다는 것이다. 입장이 바뀌었다면 과연 그럴수 있을까?
서글프지만 다른 사람을 위해서 사는 사람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3. 빈틈많고 허무한 법체계
엄마가 고용한 변호사는 성공안전주의형 인간이다. 현실적인 그가 내린 판단은 죄를 인정하되 아들을 정신병자로
감형이 가능한 점을 강조한다. 같은 죄라도 정신병자라면 죄를 덜 받게 된다(?) 얼마나 황당한 법인가.
'나영이 사건'을 연상하게 하는 장면이였다.

이 영화는 전반적으로 봉준호 특유의 냉소적인 시각이 많이 돋보이는 영화이다.
그것은 관객이나 장르의 일반화에 대한 것도 포함하고 있다.
이 영화가 따라가고 있는 장르는 서스펜스이고 관객은 영화를 보면서 뭔가를 추리하고 싶어하고 결과를 예측하고 싶어한다.
하지만 영화의 후반부를 보면 알겠지만 모든 것은 원점으로 돌아가고 모든 것이 의미없음을 보여줬던 것 같다.
'스토리의 주인은 보여주는 화자인 감독이다.'라는 작가주의의 경향이 상당히 엿보였던 것 같다.

그리고 이러한 이야기 스타일은 개인적으로 '명탐정 셜록홈즈'를 연상하게 한다. 독자는 절대로 범인이 누구인지 짐작하기
힘들다. 왜냐하면 스토리가 시간상의 배열로 모든 것을 설명해주지 않으며 용의자의 폭이 상당히 넓기때문에
후에 어느 랜덤한 인물이 범인이 되도 이상할 것이 없기 때문이다.
'소년탐정 김전일'처럼 범인이 이 안에 있으니 추리해서 이 중에서 찾아보시라라는 관람자에 친근한 방식이 아니라는 것이다.

쭉 보다보면 감독은 친절하게 모든 것을 다 보여준다.
기억하지 못하는 아들을 재촉해서 듣는 충격적인 가족사는 왜 극의 엄마가 아들에게 집착하게 되는지에 대한
당위성을 보여주는 듯 싶다. 하지만 후반에 엄마가 기대한 모든 것이 뒤틀린 후에 설정된 잔혹한 파국은
개인적으로 마음에 들지 않았다. 물론 '극은 극일 뿐이다.'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영화내에서 캐릭터는 상당히 독특하고 모호한 부분이 많았다.
어떠한 캐릭터도 선하거나 악하다고 평할 수 없다. 또한 어떠한 캐릭터도 정상적이거나 비정상적이다고 평할 수 없다.
(* 인간사 사실 누구도 이것을 평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모두 그저 미묘한 차이일 뿐...)
제 각기 때로는 선하고 정상적이며 때로는 악하고 비정상적으로 행동한다.
아쉬운 건 영화내에서는 (파격적인 스토리를 위해서 그랬겠지만) 악하고 비정상적으로 보이는 부분이 훨씬 많다.

영화는 전혀 지루하지 않지만 계속되는 반전과 비상식적인 전개에 몰입도는 떨어졌고 '살인의 추억'과 같이 공감을
이끌어내는 것도 아니다. 의도대로(?) 거리감이 느껴졌고 스토리가 비정상적인 전개에 의해 잔혹했던 부분도
그다지 마음에 들지 않았다. 이 영화를 보는 뒷맛은 씁쓸하다. (이게 공감의 포인트인 것 같은 느낌이 들지만...)
하지만 오프닝과 엔딩은 깊이 인상이 남을만큼 뛰어났다고 평하고 싶다.
(어느 신인 감독이나 그렇지만 봉준호 감독도 '살인의 추억'을 뛰어넘는 후속작 나오기는 어려운 듯 싶다.
조금씩 아쉬움만 더해가는 듯...)

-

힘들고 지치는 인생사, 무엇이 남겠는가.
아픔과 상처의 기억을 지운다. 그리고 춤추고 미쳐 그들과 함께 놀아보노라!


ps.
딱히 영화보면서 연기는 평할 생각없지만..
극을 이끌어 가는 김혜자, 비교적 짧은 씬에도 진구의 역은 강렬했다. 봉준호 감독은 원빈에게 미안해 하셔야 할 듯;
상갓집에서 묘한 교차 시퀀스도 기법상으로 꽤 독특하고 멋졌다고 생각이 들지만 그냥 패스.
마지막으로 메인테마로 들리는 음악 너무 좋은데 역시 '이병우'라는 이름이 올라온다.
개인 앨범 좀 나왔으면 하고 소망해본다. 음악들을려고 영화봐야 할 판;

'Review World > Cine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glorious Basterds  (0) 2010.04.25
The Corporation (2003)  (0) 2010.04.11
La sconosciuta (English title: The Unknown Woman)  (0) 2009.06.28
동사서독 Redux (2008)  (2) 2009.04.14
Posted by 의문의 몽상가
|
연말이기도 하고 올해 들었던 앨범중에서 가장 좋았던 것을 꼽아본다.
이미 제목에서 언급됐던 것처럼 '브로콜리, 너마저'의 데뷰 앨범이 개인적으론 가장 좋았다.

한마디로 정리해보자면, 머리로 듣는 음악은 '장기하와 얼굴들'이 정말 좋았지만
가슴으로 듣는 음악은 '브로콜리, 너마저'가 좋았던 것 같다.
(장기하와 얼굴들은 다음에 이야기해보도록 한다;;)

이 그룹은 특이하다.
포크를 하는걸까 록을 하는걸까
그건 중요하지 않다. 하지만 앨범 전체에서 느껴오는 따뜻함과 진솔함.
그것이 장점이다.

그리고 전체 곡들을 들어보면 꽤나 우리 정서에 맞는 장르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면모를
띄고 있기 때문에 앨범을 계속 듣고 있어도 전혀 지루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곡의 제목도 꽤나 눈길을 끄는데,
'이웃에 방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앵콜 요청 금지', '보편적인 노래',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속좁은 여학생'
언뜻 보기에는 무슨 노래이지 싶은데 가사를 듣다보면 그 안에 평범하지만 공감할만한 스토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 점도 플러스.

내가 음악이 듣는데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멜로디, 역시 좋다.
데모 앨범에 'Beyond The Green' 곡이 있는데 그들이 발라드로도 능력이 있음을 보여주는 듯 하다.
(이 곡 사실 보컬곡인 것 같은데 그냥 피아노 연주로 실려있다. 가사를 쓰지 못한건지 보컬을 포기한건지는 모르겠지만..)

'브로콜리, 너마저'도 사실 '라라라'에 이미 2번이나 출연했었다.
처음에 방송에서 들었을 때 과도한 베이스 볼륨 크기에 조금 이상하게 들렸었는데...
나중에 앨범을 듣고 정말 좋아하게 됐다.
혹, 이 글을 보는 사람중에 올드 포크 스타일을 좋아한다면 강추하고 싶다.

-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이 곡은 1집에 수록되지 않은 데모 앨범의 곡임.)
설명하려 했지만
설명할 수 없는 일들이 있어

그렇지만
그게 왜인건지 내가 이상한 것 같아

나의 말들은 자꾸 줄거나 또 다시 늘어나
마음속에서만 어떤 경우라도 넌

알지 못하는
진짜 마음이 닿을 수가 있게
꼭 맞는 만큼만 말하고 싶어

이해하려 했지만
이해할 수 없는 사람도 있어

그렇지만
욕심많은 그들은 모두 미쳐버린 것 같아

말도 안되는 말을 늘어놔 거짓말처럼
사실 아닌 말로 속이려고 해도 넌

알지 못하는
그런건가봐 생각이 있다면
좀 말같은 말을 들어보고 싶어

나의 말들은 자꾸 줄거나 또 다시 늘어나
마음 속에서만 어떤 경우라도 넌

알지 못하는
진짜 마음이 닿을 수 가 있게
좀 말같은 말을 들어보고 싶어

'Review World >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시드 폴 4집 - 레 미제라블 (Les Miserables)  (0) 2010.01.08
이소라 다시 듣기  (2) 2010.01.05
이승환 - 물어본다 (라라라)  (0) 2009.12.13
Sting - Englishman in New York  (0) 2009.10.22
Posted by 의문의 몽상가
|


많이 닮아있는 것 같으니, 어렸을 적 그리던 네 모습과
순수한 열정을 소망해오던 푸른 가슴의 그 꼬마 아이와
어른이 되어가는 사이 현실과 마주쳤을 때

도망치지 않으려 피해가지 않으려
내 안에 숨지 않게 나에게 속지 않게
오 그런 나이어 왔는지 나에게 물어 본다
부끄럽지 않도록 불행하지 않도록 워워어 않도록

푸른 가슴의 그 꼬마아이는 무엇을 잃고 무엇을 얻었니
어른이 되어 가는 사이 현실과 마주쳤을 때

도망치지 않으려 피해가지 않으려
내 안에 숨지 않게 나에게 속지 않게
오 그런 나이어 왔는지 나에게 물어본다
부끄럽지 않도록 불행하지 않도록 더 늦지 않도록

부조리한 현실과 불확실한 미래에
내 안에 숨지 않게 나에게 속지 않게
오 그런 나이어 왔는지 나에게 물어 본다
부끄럽지 않도록 불행하지 않도록 워워어 않도록


우연히 베스트극장을 보다가 알게 된 노래. '태릉선수촌'의 엔딩으로 쓰였던 곡이다.
가사와 멜로디가 너무 훌륭하다고 생각한다.

어릴 적에 가슴에 품은 순수한 열정과 이상,
지금의 나는 그것에 부끄럽지 않은 존재인가,
그것에 좀 더 다가설 수 없을까,
지금은 나는 그것을 잃어버린 건 아닐까.

이 곡은 나른한 맑은 날 휴일 오후에 들을 때 상쾌한 청량감을 주는
동시에 자기 성찰적인 생각이 들게 만드는 곡인 것 같다.


Posted by 의문의 몽상가
|
요즘 카메라는 일반인들의 필수 아이템중에 하나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휴대폰에 내장된 카메라나 작은 point-and-shoot 카메라를 가지고 사진을 찍는 것을 길거리에서
심심치 않게 불 수 있다.

사진의 장점은 있는 장면을 아주 손쉽게 디테일과 함께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휴대가 가능할 만큼 작고 위의 장점때문에 대중화가 된 것이 아닌가 그런 생각을 해본다.

과거에는 전문가나 사용해 봄직한 디지털 SLR(Single Lens Reflex) 카메라가 요즘은 가격도 저렴하게
출시되고 있기 때문에 좀 더 나은 퀄리티나 다른 촬영방법을 응용하고 싶은 유저들이 쉽게 구입해 사용하는 것 같다.

Olympus E-P1은 작년에 Olympus가 발표한 새로운 컨셉의 카메라에 대한 제품형 카메라다.


 이 새로운 컨셉은 기존 SLR의 구조에서 미러를 제거하고 그로 인해서 뷰파인더도 제거된 형태로 DSLR과 동일한 성능에
소형화를 추구한 모델이다. 사실 올해 7월에 출시했는데 화이트 기종 품귀현상이 심해서 몇주전에서야 겨우 구했었다는..;

사실 컨셉은 DSLR과 동일한 성능이라지만 엄연히 몇몇에 같은 성능이 아직 나오는 것은 아니다.
Auto focus는 기존의 DSLR보다 상당히 느린 편이며 때때로 뷰파인더가 편하게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대신에 소형화로 점퍼 주머니에 쏙 들어가는 사이즈는 언제나 카메라를 휴대할 수 있다는 큰 장점 때문에
나에겐 DSLR보단 훨씬 맞는 컨셉의 카메라였던 것이다. 사용에 상당히 만족스럽고 여러가지 재미있는 추가기능
(아트필터, 동영상 촬영)으로 꽤나 재미있는 카메라인 것 같다.

마지막 사진은 현재 인기있는 Panasonic 20mm f/1.7 렌즈 장착한 사진을 포스트해본다.


'Review World > Dev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won A3 & S9  (0) 2009.11.09
Olympus OM-1 MD  (1) 2009.04.07
Olympus OM Zuiko 180mm F/2.8  (0) 2009.03.14
Olympus OM Zuiko 50mm F/1.4  (0) 2009.03.01
Posted by 의문의 몽상가
|

Cowon A3 & S9

Review World/Device 2009. 11. 9. 17:16
저번주에 산 물건을 한꺼번에 받아서 열심히 써보고 있는데 그중에 하나를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PMP (Portable Media Player)라는 것을 처음 알게 되고 기다렸다가 산 A3.


이 기기가 특징은 굉장히 다양한 코덱을 지원한다는 점이였다.
그래서 따로 코덱 변환이 없이 그대로 복사해서 쓰면 된다는 것은 시간의 관점에서 굉장히 큰 장점이 된다,
사실 그 이유때문에 구형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하고 있음에도 이 PMP를 기다려왔던 것이기도 했다.
써보니 업데이트가 자주 있긴 했지만 코덱이나 플레이어의 자잘한 문제가 완벽히 해결되지는 않았다.

이 물건도 어느덧 2년여동안 잘 사용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이어폰잭 연결부위의 문제로 소리가
잘 나오지 않아서 결국 새로운 물건을 알아볼 수 밖에 없었다. (이제 이건 단종.)

최근에 산 건 S9이라는 다른 타입의 신모델이다.


Cowon 제품을 다시 사게된 이유는 좋은 음보정 소프트웨어를 지니고 있다는 점이 주된 요건이였다.
음량을 굉장히 풍부하게 된 소리가 참 마음에 든다.
(일전에 winamp의 플러그인을 소개했던 것과 비슷한 소리를 내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소라의 '바람이 분다'라는 곡을 꽤나 좋은 샘플로 쓰고 있다.)

그리고 A3만큼은 아니지만 꽤 좋은 코덱을 지원하고 있다는 점 또한 중요한 요건이다.
(플레이어에 재생하기 위해서 코덱변환을 하는데 보내는 것이 시간낭비라고 생각되기 때문에..)


불편해서 새물건을 샀지만 그래도 2년동안 일하면서 항상 같이 지낸 물건이라 그런지 아직도 불편함을 감수하고
A3를 가지고 다니는 본인이 아리송하다.

'Review World > Dev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Olympus E-P1 'PEN'  (0) 2009.11.16
Olympus OM-1 MD  (1) 2009.04.07
Olympus OM Zuiko 180mm F/2.8  (0) 2009.03.14
Olympus OM Zuiko 50mm F/1.4  (0) 2009.03.01
Posted by 의문의 몽상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