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2024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위 사진들은 RAW로 촬영됐으며 라이트룸을 이용해서 노출보정만 한 상태입니다.)


두 사진중 위의 것이 올림푸스 E-5 (+ 12-60mm f/2.8-4) 그리고 아래의 것은 캐논 5D (+ om 50mm f/1.4) 이다.


사실 이 두 기종은 정확히 매치업 시키기엔 맞지가 않다. 5D는 이미 4년전에 단종된 모델이고 구형 필름렌즈를 이용해서 촬영했고

E-5는 하이그레이드 렌즈를 사용하였으며 작년에 나온 비교적 신모델이다. 따라서 해상력이던지 성능을 비교하는 것은 무의미할 것이다.


내가 보고 싶은 것은 두 브랜드의 바디가 만들어내는 결과치 비교이고 그 사진들의 차이인 것이다.


동호회 사이트에서 포서드 논란이 일어날때마다 그것이 무지에서 비롯됨을 알기 때문에 안타까웠지만 오랜기간 올림푸스만을 사용한 유저로서

사실 브랜드간의 차이를 잘 모르는 것은 본인 또한 마찬가지였다는 생각이 들었다. 포서드가 센서 작기때문에 심도 표현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단점 때문에 저렴한 풀프레임 바디인 5D를 사용해보기로 결심했다.


사진만 봤을때의 느낌은


캐논은 부정확하고 실제와는 다르게 색이 묘하게 틀어진다. 하지만 그게 이쁘다.

바디에서 바로 나온 RAW는 묘하게 틀어진 색, 부정확한 화이트 밸런스로 인해서 보정이 필수처럼 느껴졌다.

하지만 RAW는 보정 관용도가 훌륭했으며 미적 관념(?)에서 봤을땐 결과물이 만족스럽긴 하다.


올림은 화이트 밸런스가 정확하고 색표현 또한 사실적이다. 그래서 사실 RAW를 열어도 보정을 할 필요성을 많이 느끼진 못한다.

하지만 촬영된 결과물은 다소 어둡고 보정해도 캐논같은 화사함을 얻기란 쉽지 않은 것 같다.

물론 100프로를 봤을 때 E-5의 해상력은 극상이다.


역시 두 브랜드의 카메라는 일장일단이 있다. 하지만 결과물을 봤을땐 5D가 살짝 우세한 것 같다는 느낌이든다.

만약 두 카메라를 선택해야한다면 일상용도에서 즐기기엔 5D가 좋다.

하지만 정확성이 우선시되는 상업용, 특히 다큐, 보도 용도로는 올림푸스가 훨씬 편할 것이란 생각이 든다.

Posted by 의문의 몽상가
|
동호회분에게 한글로 된 사진 입문서적을 빌려서 읽어보게 되었는데 대개 다 아는 내용이였다.
하지만 그 와중에 기억이 남는 부분이 있다.

그것은 '사진은 무엇을 어떻게 찍어야하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설명이다.

책의 내용을 스크랩해본다.

1. 사진은 우연성에 기초한다.
사진이란 순간을 촬영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우연적인 순간을 포착하기 위해선 그만큼의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

2. 사진의 특성은 고립성이다.
사람들은 회화와 사진을 비교하곤 한다. 왜냐하면 둘 다 평면적인 시각예술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둘은 방법론적으로 큰 차이를 보인다.

회화는 없는 것을 창조하는 창의적인 구성이 가능하지만 사진은 정해진 상황에서 필요한 부분을 가져오는 것이다.
따라서 사진적인 효과로 이상적인 방법은 부분적인 이미지를 클로즈업하면서 전체와 연결되는 소통적인 이미지를
그려내는 것이다.

이 두번째의 고립성은 주로 간과했던 부분이다.
내가 느꼈던 사진으로써의 한계는 내가 보는 것과 사진을 통해서 보는 것이 다르다는 것이다.
직접 공간에 들어가서 카메라 렌즈보다 넓은 시야를 가지고 보면서 느끼는 것은 사진 결과물과는 많이 다르다.
그리고 사진의 이미지가 가지는 평면적이고 한정적인 이미지에 답답함을 느꼈다.

물론 사진은 그렇기 때문에 위에 설명했듯이 부분적 강조에 더 뛰어나야 할 수 밖엔 없다.
하지만 나는 그것으로 만족할 수 없다. 내가 봤던 것을 가능한 많이 이미지로 보여내고 싶다.
그것은 책이 설명했던 고립적인 것과는 정반대의 것이다.

재미있게도 디지털 이미지는 컴퓨터를 이용해서 어려가지 조작이 가능하기때문에 이미지를 병합하고
파노라마 이미지를 만드는 게 가능하다. 여러장의 이미지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한 장의 사진은
내가 보고 느끼는 것 마저 초월한다. 그리고 한 장의 이미지에는 이런 저런 많은 이야기들이 존재한다.

책에서 이야기하는 고립성이 상징적 시적 표현이라면 이미지를 병합하여 장면을 만들어내는 것은
서술적 소설적 표현이라고 말할 수 있다. 중국의 전설적인 소설가 김용은 '소설은 길면 길수록 좋다.'라고 말했다.
병합된 이미지가 하나의 소설이라면 (김용의 표현에 의하면) 여러장의 이미지가 하나로 결합될수록 더 좋다라는 것도
일맥상통하는 의미인 것이다.

비슷한 의미로 같은 주제를 두고 여러장의 사진을 찍어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것도 그 대상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만드는 방법중에 하나이다. 실제로 많은 포토그래퍼들이 추천하는 방법이다.

굳이 사진을 찍으면서 사진 기술에 너무 집착할 필요가 없다.
사진은 노출만 맞으면 된다. 나머진 내가 존재하는 세상이 모든 것을 표현할 것이다.
그만큼 우리 삶 자체가 스펙타클하기 때문에..

(사진에 대한 생각도 이걸로 충분히 정리가 되는 듯 싶다.)
Posted by 의문의 몽상가
|
오늘 블로그 로그를 보다가 '포서드 렌즈' 찾아오는 몇몇분이 있던데...

도움을 드리고자 포스트해본다. 직접써봤자 잘 쓰는 것 같지도 않고 그냥 링크.

포서드 / 마이크로 포서드 카메라와 호환 마운트시에 모습을 담은 플래시 페이지인데
어떻게 렌즈를 구성할 것인지 또 어떤 렌즈들이 있는지 마운트시에 어떤 모양인지 알아보기 쉽다.

카메라 / 렌즈 매칭 시뮬레이션

다음은 대략적인 포서드 / 마이크로 포서드 렌즈의 스펙과 유저 리뷰.
주이코 유저클럽에 좋은 설명 페이지가 있다.

주이코 클럽 렌즈 설명 페이지

도움이 되길 바라며.. 그럼

'My little info > about Photograp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림푸스 E-5 vs 캐논 5D 비교  (1) 2012.05.07
사진의 표현에 대한 고찰  (0) 2010.08.09
사진의 이해(2) - 조리개  (0) 2009.04.29
사진의 이해(1) - 노출  (2) 2009.03.31
Posted by 의문의 몽상가
|
- 조리개 (Aperture) 란?

조리개는 렌즈안에 있는 빛이 들어오는 구멍이다.

앞서 노출에서 설명했듯이 조리개가 열리는 크기에 따라서 단위 시간에 들어오는 빛의 양이 결정되고
이것은 다음 설명할 '피사계 심도'의 차이를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 피사계 심도 (Depth of Field)

피사계 심도는 사진에서 사물이 명확하게 나오는 부분을 의미합니다. 피사계 심도를 좌우하는 요소에는
대개 렌즈의 초점 거리, 피사체과 카메라의 거리, 그리고 조리개 수치입니다.

우선 가장 쉽게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의 조리개 세팅을 변경해서 f-stop 수치가 낮으면 심도 영역이 좁아지고
f-stop 수치가 높을수록 초점이 맞는 영역이 넓어집니다.

F/4
F/16
조리개 수치에 따라 피사계 심도가 달라진다.

- 스토리텔링 기법

단순하게 말해 전체의 이미지를 살려서 묘사하는 듯한 사진을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풍경사진에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죠. 전체 이미지를 선명하게 싣기 위해서는 F/16, F/22와 같이 조리개
수치를 높게 세팅해야 합니다.

% 대개 스토리텔링 기법으로 촬영시에 (35mm 필름 카메라 기준) 초점거리가 20mm, 24mm, 28mm, 35mm와 같은
광각 렌즈(wide-angle lens)를 추천합니다. 이유는 같은 거리에서 더 넓은 이미지를 담을 수있고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훨씬 색이 선명한 사진을 담을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 단일 주제 기법

원하는 피사체만을 선명하게 하고 나머지 부분은 흐릿한 사진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흔히 사람들이 아웃 포커스라고 부르죠. 이러한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는 F/2, F/2.8과 같이 조리개 수치를 낮게
세팅하여 촬영해야 합니다. 인물사진과 같이 피사체 중심의 사진에 많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 망원 렌즈들이 좁은 뷰 앵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일 주제 기법에는 초점거리가 긴 망원 렌즈들이 추천됩니다.

- 고정 렌즈 디지털 카메라 vs 35mm 일안 반사식(SLR) 필름 카메라

요즘 출시되고 있는 많은 고정 렌즈 디지털 카메라는 소형화로 인해서 초점거리가 짧아지고 뷰 앵글이 훨씬 커지게
되어서 과거 35mm 필름 카메라와는 조리개 수치는 같지만 실질적으로 피사계 심도가 달라지게 됩니다.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의 F/2.8이 SLR 필름 카메라에서는 F/11과 같은 피사계 심도를 얻게 되는 것입니다.

앞에서 설명했던 조리개의 수치들은 편의를 위해서 35mm 필름 카메라 기준으로 설명되었지만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는 기본적으로 깊은 피사계 심도를 갖기때문에 단일 주제 기법(아웃포커스)를 사용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리고 현재 출시되고 있는 많은 DSLR도 35mm 필름 카메라보단 짧은 초점거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불리한 것은 사실입니다.

- 대충(?) 조리개 기법

스토리텔링 기법이나 단일 주제 기법이 적당하지 않을 때, 조리개 수치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 상황에는 사용되는
기법입니다. 주로 이 상황에 사용되는 조리개 수치는 F/8 이나 F/11입니다.

구체적인 상황을 들어보면 어떤 벽 앞에 놓여져 있는 피사체를 촬영을 한다고 가정할 시에 피사체나 벽의 초점거리가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어떠한 조리개를 사용하던지 이미지에 큰 차이를 보이기가 어렵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위와
같은 조리개를 사용하여 촬영하면 선명한 이미지를 빠른 셔터 스피드로 촬영 가능합니다.

% F/8, F/11에서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느 이유는 렌즈 구조와 빛이 렌즈에 들어가는 방식에 기인합니다.
대부분의 렌즈들은 타원형의 유리를 사용합니다. 렌즈는 깔대기 모습처럼 빛을 모아서 촬상면으로 보내게 됩니다.
이 때 내보는 구멍의 지름은 F/8, F/11의 조리개 지름과 대략 비슷합니다. 따라서 빛이 고르게 촬상면에 도달하기
때문에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요즘 나오는 DSLR은 빛이 수직입사하게 디자인된 경우 있기 때문에
항상 그렇다고 말할 수는 없긴 합니다.

- 매크로 촬영과 조리개

기본적인 조리개의 사용법은 매크로 촬영(클로즈업)시에도 모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다만 유념해야 할 점이 있다면
피사체에 점점 다가갈수록 피사계 심도는 점점 얕아진다는 것입니다.

또한, 일반 촬영에서 피사계 심도가 피사체 앞에서 1/3, 피사체 뒤에 2/3 정도로 분할된다면,
매크로 촬영에서는 피사체 앞에 1/4, 피사체 뒤에 1/2 정도로 나뉘게 되는 심도의 차이를 보이게 됩니다.

% 높은 피사계 심도를 가진 고정 렌즈 디지털 카메라는 매크로 촬영에 유리합니다. 근접시에는 자동적으로 심도가
얕아지기 때문에 높은 심도를 가진 카메라가 유리합니다. 더구나 같은 심도에서 셔터 스피드가 빠르기 때문에 좋은
사진을 얻을 확률이 높습니다.

- 하이라이트 촬영과 조리개

클로즈업 촬영에서는 아웃포커스된 빛의 형태를 배경으로 잡아낼 수 있는데 이 빛의 형태는 조리개의 모양에
따라서 달라지게 됩니다. 이러한 빛을 specular highlights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대개 많이 사용되는 원형의 빛을 얻기 위해서는 렌즈를 최대개방으로 놓고 촬영을 해야합니다.
반대로 최대개방이 아닌 상태에서는 육각형의 빛을 얻게 됩니다.
Posted by 의문의 몽상가
|
- 프롤로그

카메라를 배우기 시작하면서 Understanding Exposure (by Bryan Peterson) 라는 책을 구입해서 읽고 있다가 사실
끝까지 마저 읽지 않은 채 어느정도 알 때쯤에 오히려 카메라 장비에 대해서 관심을 많이 갖게 되었습니다.

여러 포럼에서 사람들의 논쟁에 대한 관심때문에 그렇게 됐지만 이젠 그런 논쟁에 대해서 스스로 공부해보면서 카메라 원리에
대해서도 어느정도 알게 된 것 같습니다. 정작 사진찍는 취미를 시작했을 때는 말 그대로 사진을 찍는 것이 중요한 것인데
오히려 이 취미를 갖게 되고나서 장비에 대해서 관심이 갖게 되는 것은 비록 연관은 있지만 주객이 전도된 상황인 것 같습니다.

그러한 생각에서 전에 보던 책을 마저 읽고 제대로 책의 내용을 통해 제대로 마스터해보려 합니다.
앞으로 꾸준히 이 책의 내용과 경험을 토대로 노트정리와 같은 방식으로 사진의 기본에 대해서 수록하겠습니다.

- 노출의 이해

- 노출이란 무엇인가?

노출이란 카메라로 통해 들어오는 빛이 만들어내는 이미지이다. 어떻게 이미지를 담아내냐에 따라 노출은 달라지지만
정확한 노출이란 사진을 찍는 사람이 의도하는 것을 카메라를 통해 담아내는 것이다.

요즘 나오는 카메라는 오토 포커스, 오토 화이트 밸런스등 많은 자동 기능을 담아내고 있지만 자동 기능은 자신이 원하는 사진을
자동으로 만들어 주지는 못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진을 이해하는 것은 카메라 수동 기능을 이해하는 것으로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 자동 포커스는 좌, 우의 이미지 차이를 표현할 수 없다.)
(* 자동 셔터 스피드는 좌, 우의 밝기 차이를 표현할 수 없다.)

- Photographic Triangle

정확한 노출을 얻는 데 가장 중요한 세가지 요소는 조리개(aperture), 셔터 스피드(shutter speed), 그리고 ISO 입니다.

1. 조리개

렌즈의 조리개가 얼마나 개폐되냐에 따라서 렌즈를 통해 카메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결정됩니다.

조리개 수치 (f-stops) - 수치가 낮을수록 조리개가 많이 열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조리개를 통해 들어가는 빛의 양이 절반으로 줄어들면 조리개 수치는 √2 배율로 커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렌즈의 조리개 값을 보게 되면 f/1, f/1.4, f/2, f/2.8. f/4, f/5.6, f/8...
이렇게 조리개가 점점 닫히게 되고 카메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전의 수치에 비해 반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조리개 수치 차이를 한 스탑 또는 풀 스탑이라고 합니다.

(* 요즘 카메라는 풀 스탑이 아니라 1/3 스톱으로 더욱 세밀하게 조리개 조절이 가능합니다.)

기술적인 의미로 f 는 focal length를 의미하고 슬래쉬(/)는 나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50mm 렌즈를 f/1.4로 촬영시 실질적으로 열리는 조리개의 지름은 50 / 1.4 = 35.7 mm가 됩니다.

(* focal length: 사물을 무한대 초점에 맞추었을 때에 이미지 촬상면(필름,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거리.)

2. 셔터 스피드

셔터 스피드를 통해서 카메라는 빛의 양이 들어오는 시간을 조절합니다.

조리개 수치와 마찬가지로 2배율로 적용되는 법칙은 동일합니다. 따라서 노출시간이 2배로 길어질수록
들어오는 빛의 양이 2배로 많아지게 됩니다.

3. ISO

ISO는 필름 스피드, 즉 필름의 빛에 대한 민감도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ISO 100과 ISO 200를 비교한다면 동일한 노출을 얻는데 빛에 민감한 ISO 200이 2배 빠른 셔터스피드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어떤 이미지를 얻는 데 ISO 100에서 f/8 1/125초가 걸린다면 ISO 200에서는 f/8 1/250초가 됩니다.

- Photographic Triangle의 심장, 노출계

카메라를 이용해서 어떤 이미지를 얻을 때에는 항상 위의 세가지를 자동이든 수동이든 세팅을 하고 나서 촬영을 하게
됩니다. 이미지의 정확한 밝기를 얻기 위해서 빛의 양을 노출계를 통해서 측정하고 세팅을 바꾸게 됩니다.

필요이상으로 많은 빛에 노출되어서 하얗게 나온 것을 오버노출(overexposure),
비교적 적은 양의 빛에 노출되 검게 나온 것을 언더노출(underexposure)이라고 합니다.

- 많은 수의 정확한 노출 vs 한 개의 창의적인 노출

같은 장면을 촬영하는 데에는 여러가지의 정확하게 맞은 노출 세팅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지금까지 알게 된 지식을 종합해서 보면 어떤 장면이 f/2.8 1/1000초가 정확한 노출이라면
f/4 1/500초, f/5.6 1/250초, f/8 1/125초, f/11 1/60초도 정확한 노출이 되게 됩니다.

하지만 정확한 노출을 얻었다고 해서 그것이 좋은 사진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 많은 세팅중에 효과적으로 장면을
돋보이게 하는 창의적인 노출이 존재합니다.

- 7가지 창의적인 노출 기법

대표적인 창의적인 노출을 얻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기법들이 존재합니다.

1. 작은 조리개 수치에 의한 스토리텔링 기법
     조리개를 f/16, f/22처럼 작게 맞추고 전체의 이미지를 살리는 기법
2. 아웃 포커스에 의한 단일 주제 기법
     조리개를 f/2.8, f/4처럼 크게 맞추고 포커스에 맞는 부분의 이미지를 살리는 기법
3. 위에 1번도 2번이 아닌 중간 위치의 조리개(f/8, f/11)에 의한 기법
4. 근접 촬영, 매크로 촬영
5. 빠른 셔터 스피드에 의한 스톱 모션 기법
6. 카메라를 움직여서 물체를 포착하는 패닝 기법
7. 셔터 스피드를 길게 해서 움직임을 강조하는 기법

- 다음은 조리개, 셔터 스피드등에 의한 촬영 기법에 대해서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Posted by 의문의 몽상가
|